티스토리 뷰
목차
그린벨트 해제, 지역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 🌱
안녕하세요!
오늘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
'그린벨트 해제' 소식을 들고 왔어요.
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비수도권 개발제한구역 해제 계획,
과연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함께 살펴볼까요?
📌 왜 지금 그린벨트 해제인가요?
지난 2월 25일 국무회의에서 비수도권
15개 전략사업지역이 선정되었는데요.
이는 지역 특화산업 육성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
그린벨트 규제를 유연하게 조정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예요.
특히 반도체·수소차·이차전지 등
미래 산업 기반 구축에 초점을 맞춘 점이 눈에 띄네요!
🔍 주요 선정 지역 현황
광주권 6건 미래차 국가산단
대구권 3건
대전권 4건 나노·반도체 산단
창원권 9건 방위·원자력 산단-폐광산 문제 해결 후 추진 예정
□ 비수도권 국가‧지역전략사업 선정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다.

<GB 국가‧지역전략사업 선정(안)>
구분
|
사업명
(위치)
|
GB면적(㎡)
|
기간
|
사업비
(원)
|
사업시행자
|
사업종류
(세부내용)
|
부산권
(3건)
|
동북아물류플랫폼(부분 선정)
트라이포트 물류지구
(부산 강서)
|
2,297,701
|
‘24~’30
|
1조 5,301억
|
부산도공
|
물류단지
(광역교통 연계)
|
제2에코델타시티
(부산 강서)
|
10,424,593
|
‘25~’37
|
11조 3,143억
|
수자원공사, 부산도공
|
친수구역
(주거, 상업‧업무, 산업‧물류)
|
|
첨단사이언스파크
(부산 해운대)
|
3,609,000
|
‘25~’30
|
3조 3,000억
|
부산시장
|
도시개발
(역세권개발, 첨단산단)
|
|
대구권
(1건)
|
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
(대구 달성)
|
278,026
|
‘22~’31
|
4,099억
|
대구시장
|
도시계획시설
(농수산물도매시장)
|
광주권
(3건)
|
미래차 국가산단
(광주 광산)
|
3,235,243
|
‘23~’31
|
1조 2,000억
|
광주도공
|
국가산단
(자동차산업, 연구시설)
|
나노 제2일반산단
(전남 장성)
|
882,343
|
‘24~’31
|
3,695억
|
산업단지
공단
|
일반산단
(첨단3지구 연계)
|
|
담양 제2일반산단
(전남 담양)
|
755,780
|
‘23~’29
|
1,911억
|
담양군수
|
일반산단
(미래차 관련 소‧부‧장)
|
|
대전권
(1건)
|
나노반도체 국가산단
(대전 유성)
|
3,644,058
|
‘22~’30
|
3조 6,980억
|
LH,
대전도공
|
국가산단
(나노반도체, 우주항공)
|
울산권
(3건)
|
수소융‧복합밸리 산단
(울산 남)
|
2,786,542
|
‘25~’32
|
9,709억
|
울산도공
|
일반산단
(수소산업 관련)
|
U-밸리 일반산단
(울산 울주)
|
3,183,718
|
‘23~’32
|
1조 423억
|
울산도공
|
일반산단
(이차전지 특화단지)
|
|
성안‧약사 일반산단
(울산 중)
|
651,765
|
‘23~’29
|
3,268억
|
울산도공
|
일반산단
(친환경에너지, 자동차)
|
|
창원권
(4건)
|
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
(경남 창원 진해)
|
6,371,787
|
‘25~’45
|
2조 518억
|
창원시 또는 부산항만공사
|
물류단지
(항만물류 플랫폼)
|
도심융합기술단지
(경남 창원 의창)
|
2,270,777
|
‘25~’35
|
7,521억
|
창원시
|
도시개발
(창원대 연계 R&D 산학연구단지)
|
|
도심생활 복합단지
(경남 창원 마산회원)
|
964,093
|
‘25~’35
|
2,897억
|
창원시
|
도시개발
(마산역세권 개발)
|
|
진영 일반산단
(경남 김해)
|
679,525
|
‘25~’33
|
3,145억
|
SPC(김해+민간)
|
일반산단
(모빌리티, 수소, 로봇)
|
※ 제시된 선정(안)의 위치‧면적 등은 지자체 신청기준이며, 구체적인 사업구역‧면적 등은
향후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위한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과정에서 변경 가능
내가 사는 지역에도 해당하는지 한번 알아보는 것도 좋을 듯하네요!
💡 해제 이후 기대되는 변화
경제 활성화: 총 27조 8천억 원 투자로
124조 생산효과·38만 명 고용 창출 예상
주민 복지 향상: 공원·친수공간 조성을 통한 삶의 질 개선
투기 방지 시스템: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부동산 시장 안정화
✏️ 현장에서 본 그린벨트 해제의 의미
지난주 울산 현장을 방문했을 때,
한 지역 사업가 분이 하시던 말씀이 생각나네요.
"오랜 기간 묶여 있던 땅이 산업단지로 변하면서
청년들이 돌아올 희망이 생겼어요"라고요.
이번 그린벨트 해제가 단순히 규제 완화가 아닌,
지역 재도약의 발판이 되길 바랍니다.
🚨 꼭 알아둘 사항!
2025년 상반기부터 단계적 해제 예정
환경평가 1·2등급 지역은 대체지 지정 필수
2차 추가 선정 가능성 존재
"개발과 보존의 균형을 잡는 것이 핵심입니다" - 국토교통부 관계자
개인적으로는 이번 그린벨트 해제 정책이 지역마다
고유한 색깔을 살리는 '맞춤형 발전'의 모델이 되길 기대해요.
다음 포스팅에서는 실제 해제 지역의 변화상을 직접 담아 올게요! 🌟